삼성전자, 메모리 증설 착수…평택 4공장 낸드 투자 | 비맥스테크놀로지
안녕하세요!
Digital 시대를 만들어가는 Embedded System과 산업용컴퓨터 및 Display Solution 전문 기업 비맥스테크놀로지입니다!

삼성전자 '1테라비트(Tb) 트리플 레벨 셀(TLC) 9세대 V낸드'
삼성전자가 오랜기간 지속돼 온 반도체 감산에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반도체 시황이 개선되면서 삼성이 신규 메모리 투자에 착수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평택 4공장(P4)에 낸드플래시 라인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이달 말까지 주요 설비를 반입할 계획으로, 정식 발주를 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를 가장 많이 만드는 회사입니다. 삼성의 투자는 반도체 시장이 완전한 상승기(업턴)로 전환했다는 판단에 따른 의사 결정으로 풀이됩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과 업계 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평택 낸드플래시 라인은 P4에 처음 들어서는 반도체 제조 라인입니다. 삼성전자는 P4 건물과 인프라를 완성하고도 반도체 경기 침체 때문에 그동안 설비는 들이지 않았습니다. 삼성전자가 신규 라인 투자에 나선 건 감산을 시작했던 2023년 초 이후 처음입니다.
반도체는 코로나에 따른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로 호황을 맞았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 침체로 2022년 하반기 들어 업황이 급속 악화됐습니다.
공급과잉이 심각해지자 SK하이닉스가 2022년 말 먼저 감산에 나섰고, 세계 최대 메모리 업체인 삼성전자도 이듬해 감산을 결정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최근까지 감산 기조를 이어왔습니다. 웨이퍼 투입량을 축소하고, 최신 기술로 제조 공정을 전환하며 메모리 출하량을 줄였습니다. 반도체가 회복 기미를 보인 작년 말과 올해 1분기, 이어진 2분기까지도 삼성은 이런 기조를 놓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삼성은 올해 하반기 들어 새로운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수요 회복이 확실시 돼 라인 신설, 즉 신규 투자에 나서는 것입니다.
삼성전자가 특히 P4 첫 양산 제품을 D램이 아닌 낸드플래시로 결정한 건 인공지능(AI) 서버에서 낸드플래시 수요가 매우 강하기 때문으로 알려졌습니다.
AI 서버는 AI 학습·추론을 위한 컴퓨팅 장치로, 고속 연산을 위해서는 메모리 뿐만 아니라 빠른 데이터 저장장치도 필요합니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낸드플래시는 소비자용 SSD보다 AI 서버 제조사에서 필요로 하는 기업용 SSD(eSSD)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시장 1위인 삼성전자도 이에 대응해 증설에 나서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P4 신규라인에서는 9세대 V낸드 양산이 유력시 됩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쿼드 레벨 셀(QLC)' 9세대 V낸드를 양산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QLC는 셀당 4비트(bit)를 저장할 수 있어 TLC 대비 단위면적당 고용량을 구현할 수 있어 고용량·고성능을 요구하는 eSSD에 적합합니다.
삼성전자는 낸드에 이어 P4에 D램 생산라인도 구축할 방침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P4 두 번째 라인(페이즈2)을 D램 라인으로 만드는 것이 골자입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대응은 물론, 범용 D램 시장에서도 확고한 점유율을 늘려가겠다는 전략으로 메모리 투자가 완전 재개되는 모습입니다.
출처: 전자신문
비맥스테크놀로지는 원하시는 사양으로 완성 후 철저한 검사를 통해 최적의 PC를 고객님들께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넓은 온도 범위 및 견고한 임베디드 팬리스 컴퓨터
*다중 GigE / PoE 포트가 있는 머신 비전 플랫폼
*GPU 엣지 AI Computing(컴퓨팅) 차내 팬리스 PC
*초소형 팬리스 컨트롤러
*감시 / 비디오 분석 컴퓨터 시스템
*확장 PCIe 슬롯 / 고성능 Server PC
혹시나 더 궁금하신 점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비맥스테크놀로지로 문의해 주세요!
오늘도 비맥스테크놀로지의 공식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